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신입 개발자 필수 면접 질문
- .dockerignore
- 개발자 면접
- 코딩테스트 연습
- 도커
- 개발자 코딩테스트
- 신입 개발자 자바 면접 질문
- docker image
- 자바 stream
- 자바 암호화 알고리즘
- 자바 암호화
- 개발자 채용연계형인턴
- 셰프의찾아가는구내식당
- 식단
- docker
- 개발자 정규직
- Plating
- 프로그래머스
- 개발자 면접 질문
- 자바 암호화 복호화
- 개발자 인턴
- 플레이팅
- 직장인점심구독
-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 신입 개발자 면접 질문
- 샐러드
- 신입 개발자 자바 면접
- Linux
- 신입 개발자 면접
- 식단일기
Archives
- Today
- Total
달리는 두딘
[2020 카카오 인턴십] 키패드 누르기 본문
문제 설명
스마트폰 전화 키패드의 각 칸에 다음과 같이 숫자들이 적혀 있습니다.
이 전화 키패드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해서 숫자만을 입력하려고 합니다.
맨 처음 왼손 엄지손가락은 * 키패드에 오른손 엄지손가락은 # 키패드 위치에서 시작하며, 엄지손가락을 사용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엄지손가락은 상하좌우 4가지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키패드 이동 한 칸은 거리로 1에 해당합니다.
- 왼쪽 열의 3개의 숫자 1, 4, 7을 입력할 때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 오른쪽 열의 3개의 숫자 3, 6, 9를 입력할 때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 가운데 열의 4개의 숫자 2, 5, 8, 0을 입력할 때는 두 엄지손가락의 현재 키패드의 위치에서 더 가까운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4-1. 만약 두 엄지손가락의 거리가 같다면, 오른손잡이는 오른손 엄지손가락, 왼손잡이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순서대로 누를 번호가 담긴 배열 numbers, 왼손잡이인지 오른손잡이인 지를 나타내는 문자열 han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번호를 누른 엄지손가락이 왼손인 지 오른손인 지를 나타내는 연속된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number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numbers 배열 원소의 값은 0 이상 9 이하인 정수입니다.
- hand는 "left" 또는 "right" 입니다. ("left"는 왼손잡이, "right"는 오른손잡이를 의미합니다.)
-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 L,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 R을 순서대로 이어붙여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해주세요.
입출력 예
numbers | hand | result |
[1, 3, 4, 5, 8, 2, 1, 4, 5, 9, 5] | "right" | "LRLLLRLLRRL" |
[7, 0, 8, 2, 8, 3, 1, 5, 7, 6, 2] | "left" | "LRLLRRLLLRR" |
[1, 2, 3, 4, 5, 6, 7, 8, 9, 0] | "right" | "LLRLLRLLRL" |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입출력 예 #1
순서대로 눌러야 할 번호가 [1, 3, 4, 5, 8, 2, 1, 4, 5, 9, 5]이고, 오른손잡이입니다.
왼손 위치 | 오른손 위치 | 눌러야 할 숫자 | 사용한 손 | 설명 |
* | # | 1 | L | 1은 왼손으로 누릅니다. |
1 | # | 3 | R | 3은 오른손으로 누릅니다. |
1 | 3 | 4 | L | 4는 왼손으로 누릅니다. |
4 | 3 | 5 | L | 왼손 거리는 1, 오른손 거리는 2이므로 왼손으로 5를 누릅니다. |
5 | 3 | 8 | L | 왼손 거리는 1, 오른손 거리는 3이므로 왼손으로 8을 누릅니다. |
8 | 3 | 2 | R | 왼손 거리는 2, 오른손 거리는 1이므로 오른손으로 2를 누릅니다. |
8 | 2 | 1 | L | 1은 왼손으로 누릅니다. |
1 | 2 | 4 | L | 4는 왼손으로 누릅니다. |
4 | 2 | 5 | R | 왼손 거리와 오른손 거리가 1로 같으므로, 오른손으로 5를 누릅니다. |
4 | 5 | 9 | R | 9는 오른손으로 누릅니다. |
4 | 9 | 5 | L | 왼손 거리는 1, 오른손 거리는 2이므로 왼손으로 5를 누릅니다. |
5 | 9 | - | - |
따라서 "LRLLLRLLRRL"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2
왼손잡이가 [7, 0, 8, 2, 8, 3, 1, 5, 7, 6, 2]를 순서대로 누르면 사용한 손은 "LRLLRRLLLRR"이 됩니다.
입출력 예 #3
오른손잡이가 [1, 2, 3, 4, 5, 6, 7, 8, 9, 0]를 순서대로 누르면 사용한 손은 "LLRLLRLLRL"이 됩니다.
내 코드 풀이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int[] numbers, String hand) {
String[] strArr = Arrays.stream(numbers).mapToObj(String::valueOf).toArray(String[]::new);
String[] left = {"*", "7", "4", "1"};
String[] neither = {"0", "8", "5", "2"};
String[] right = {"#", "9", "6", "3"};
int leftIdx = 0;
int rightIdx = 0;
int neitherIdx = 0;
String leftHand = "";
String rightHand = "";
String result = "";
for (int i = 0; i < strArr.length; i++) {
// 1. left or right에 속하는지 아닌지로 분기
if (!Arrays.asList(neither).contains(strArr[i])) {
if (Arrays.asList(left).contains(strArr[i])) { // numbers의 요소가 left에 속한다면
leftIdx = Arrays.asList(left).indexOf(strArr[i]);
leftHand = strArr[i];
strArr[i] = "L";
} else if (Arrays.asList(right).contains(strArr[i])) { // numbers의 요소가 right에 속한다면
rightIdx = Arrays.asList(right).indexOf(strArr[i]);
rightHand = strArr[i];
strArr[i] = "R";
}
} else {
neitherIdx = Arrays.asList(neither).indexOf(strArr[i]);
// 거리 계산
int diffL = leftIdx - neitherIdx;
int diffR = rightIdx - neitherIdx;
// 음수가 나왔을 경우 양수로 변환
diffL = diffL < 0 ? diffL * -1 : diffL;
diffR = diffR < 0 ? diffR * -1 : diffR;
// 둘 중에 한 손이 neither에 속하지 않는다면 거리 +1
if ((!Arrays.asList(neither).contains(leftHand))
&& (Arrays.asList(neither).contains(rightHand))) {
diffL = diffL + 1;
} else if ((!Arrays.asList(neither).contains(rightHand))
&& (Arrays.asList(neither).contains(leftHand))) {
diffR = diffR + 1;
}
if (diffL == diffR) { // 거리가 같다면
if (hand.equals("left")) {
leftIdx = Arrays.asList(neither).indexOf(strArr[i]);
leftHand = strArr[i];
strArr[i] = "L";
} else if (hand.equals("right")) {
rightIdx = Arrays.asList(neither).indexOf(strArr[i]);
rightHand = strArr[i];
strArr[i] = "R";
}
} else { // 거리가 같지 않다면
if (diffL < diffR) { // 오른손의 거리가 더 멀다면
leftIdx = Arrays.asList(neither).indexOf(strArr[i]);
leftHand = strArr[i];
strArr[i] = "L";
} else if (diffL > diffR) { // 왼손의 거리가 더 멀다면
rightIdx = Arrays.asList(neither).indexOf(strArr[i]);
rightHand = strArr[i];
strArr[i] = "R";
}
}
}
result = String.join("", strArr);
}
return result;
}
}
느낀 점
참 길다..
'코딩 테스트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KAKAO BLIND RECRUITMENT] 메뉴 리뉴얼 (0) | 2022.11.13 |
---|---|
[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십] 크레인 인형뽑기 게임 (2) | 2022.11.04 |
[2021 KAKAO BLIND RECRUITMENT] 신규 아이디 추천 (0) | 2022.11.03 |
[2019 KAKAO BLIND RECRUITMENT] 오픈채팅방 (0) | 2022.11.02 |
[2022 KAKAO BLIND RECRUITMENT] 주차 요금 (0) | 2022.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