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신입 개발자 자바 면접
- 프로그래머스
- 개발자 채용연계형인턴
- 자바 암호화 알고리즘
- 자바 stream
- 신입 개발자 필수 면접 질문
- 식단일기
- docker image
- 직장인점심구독
- 도커
- 셰프의찾아가는구내식당
- Plating
- 개발자 면접
- 플레이팅
- 식단
- 자바 암호화
- Linux
- .dockerignore
- 개발자 코딩테스트
- 자바 암호화 복호화
- 개발자 정규직
- 신입 개발자 면접
- 샐러드
- 코딩테스트 연습
- 개발자 인턴
-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 신입 개발자 면접 질문
- docker
- 개발자 면접 질문
- 신입 개발자 자바 면접 질문
- Today
- Total
달리는 두딘
[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십] 크레인 인형뽑기 게임 본문
문제 설명
게임개발자인 "죠르디"는 크레인 인형뽑기 기계를 모바일 게임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죠르디"는 게임의 재미를 높이기 위해 화면 구성과 규칙을 다음과 같이 게임 로직에 반영하려고 합니다.
게임 화면은 "1 x 1" 크기의 칸들로 이루어진 "N x N" 크기의 정사각 격자이며 위쪽에는 크레인이 있고 오른쪽에는 바구니가 있습니다. (위 그림은 "5 x 5" 크기의 예시입니다). 각 격자 칸에는 다양한 인형이 들어 있으며 인형이 없는 칸은 빈칸입니다. 모든 인형은 "1 x 1" 크기의 격자 한 칸을 차지하며 격자의 가장 아래 칸부터 차곡차곡 쌓여 있습니다. 게임 사용자는 크레인을 좌우로 움직여서 멈춘 위치에서 가장 위에 있는 인형을 집어 올릴 수 있습니다. 집어 올린 인형은 바구니에 쌓이게 되는 데, 이때 바구니의 가장 아래 칸부터 인형이 순서대로 쌓이게 됩니다. 다음 그림은 [1번, 5번, 3번] 위치에서 순서대로 인형을 집어 올려 바구니에 담은 모습입니다.
만약 같은 모양의 인형 두 개가 바구니에 연속해서 쌓이게 되면 두 인형은 터뜨려지면서 바구니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위 상태에서 이어서 [5번] 위치에서 인형을 집어 바구니에 쌓으면 같은 모양 인형 두 개가 없어집니다.
크레인 작동 시 인형이 집어지지 않는 경우는 없으나 만약 인형이 없는 곳에서 크레인을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바구니는 모든 인형이 들어갈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고 가정합니다. (그림에서는 화면표시 제약으로 5칸만으로 표현하였음)
게임 화면의 격자의 상태가 담긴 2차원 배열 board와 인형을 집기 위해 크레인을 작동시킨 위치가 담긴 배열 mov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크레인을 모두 작동시킨 후 터트려져 사라진 인형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board 배열은 2차원 배열로 크기는 "5 x 5" 이상 "30 x 30" 이하입니다.
- board의 각 칸에는 0 이상 100 이하인 정수가 담겨있습니다.
- 0은 빈 칸을 나타냅니다.
- 1 ~ 100의 각 숫자는 각기 다른 인형의 모양을 의미하며 같은 숫자는 같은 모양의 인형을 나타냅니다.
- move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moves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1 이상이며 board 배열의 가로 크기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board | move | result |
[[0,0,0,0,0],[0,0,1,0,3],[0,2,5,0,1],[4,2,4,4,2],[3,5,1,3,1]] | [1,5,3,5,1,2,1,4] | 4 |
입출력 예 #1
인형의 처음 상태는 문제에 주어진 예시와 같습니다. 크레인이 [1, 5, 3, 5, 1, 2, 1, 4] 번 위치에서 차례대로 인형을 집어서 바구니에 옮겨 담은 후, 상태는 아래 그림과 같으며 바구니에 담는 과정에서 터트려져 사라진 인형은 4개 입니다.
내 설명
문제 설명이 굉장히 불친절합니다.............
그래서
제가 더 덧붙이자면
board(2차원 배열)
{{0,0,0,0,0},
{0,0,1,0,3},
{0,2,5,0,1},
{4,2,4,4,2},
{3,5,1,3,1}}
이런 형식으로 쌓이게 됩니다.
- 0 : 빈 자리
- 0 제외한 숫자 : 인형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move의 [1,5,3,5,1,2,1,4]는 이동하는 자리를 의미합니다.
board의 index를 의미하게 되니 모든 요소에 -1를 해줍니다. → [0,4,2,4,0,1,0,3]으로 만들어줍니다.
위의 형태로 인형뽑기 게임을 생각하시면
[0,4,2,4,0,1,0,3]로 뽑았을 때 → 4, 3, 1, 1, 3, 2, 4라는 인형이 뽑히게 됩니다.
연속으로 중복되는 인형을 뽑았을 때는
같은 모양 인형 두개가 사라지는 규칙이 존재하니
- 1회전 : 4, 3, 3, 2, 4
- 2회전 : 4, 2, 4
라는 결과가 도출됩니다.
여기까지만 이해하시고 코드짜시면 될 듯 합니다!
설명이 너무 불친절하고,
테스트 케이스도 하나 밖에 존재하지 않아
다른 분들은 고생하지 말라고 작성해봤습니다 !!!!!!
내 코드 풀이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board, int[] moves) {
List<Integer> list = new ArrayList<>(); // list = 4, 3, 1, 1, 3, 2, 4
Stack<Integer> stack = new Stack<>(); // stack = 4, 2, 4
for (int i = 0; i < moves.length; i++) {
for (int j = 0; j < board.length; j++) {
if (board[j][moves[i] - 1] != 0) {
list.add(board[j][moves[i] - 1]);
// stack과 비교 위해 list에도 add
if (stack.isEmpty()) { // stack이 비었으면
stack.push(board[j][moves[i] - 1]); // 무조건 push
} else { // 비어있지 않을 때부터
// 직전 넣은 요소와 넣을 요소가 같은지 비교
// -> 같으면 pop (peek 특성 참고) : 아니면 push
if (stack.peek().equals(board[j][moves[i] - 1])) { stack.pop(); }
else { stack.push(board[j][moves[i] - 1]); }
}
// 넣은 요소는 0으로 변환 후 반복문 멈춤
board[j][moves[i] - 1] = 0; break;
}
}
}
return (list.size() - stack.size()); // 7 - 3 = 4
}
}
느낀 점
분명 반복문 문제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자료구조에 대한 문제였음
진짜 문제 설명 개 불친절해서 시간 낭비 쩔었음
무튼 풀다가 반복문 문제인줄 알고
막판에 어떻게 짜야할지 도저히 모르겠어서
동기들한테 요청도 구했는데
친절하게 갠톡까지 해서 알려준 @용 & 동기들 모두 고맙습니당 ^_^
결국은 stack 이용해서 해결!
전에 짰던 코드보다 더 간단하게 해결해서
기분이 훨씬 좋음요
우하하하
또 하나 배웠습니다
참고한 출처 - Java 스택(Stack) 클래스 정리
https://velog.io/@lshjh4848/Java-%EC%8A%A4%ED%83%9DStack-%ED%81%B4%EB%9E%98%EC%8A%A4-%EC%A0%95%EB%A6%AC
'코딩 테스트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KAKAO BLIND RECRUITMENT] 메뉴 리뉴얼 (0) | 2022.11.13 |
---|---|
[2020 카카오 인턴십] 키패드 누르기 (0) | 2022.11.12 |
[2021 KAKAO BLIND RECRUITMENT] 신규 아이디 추천 (0) | 2022.11.03 |
[2019 KAKAO BLIND RECRUITMENT] 오픈채팅방 (0) | 2022.11.02 |
[2022 KAKAO BLIND RECRUITMENT] 주차 요금 (0) | 2022.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