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개발자 면접
- 개발자 코딩테스트
- 자바 암호화 알고리즘
- 식단
- 플레이팅
- 개발자 인턴
- .dockerignore
- 자바 stream
- 셰프의찾아가는구내식당
- Plating
- 자바 암호화 복호화
- 샐러드
- docker
-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 신입 개발자 자바 면접 질문
- 신입 개발자 필수 면접 질문
- 개발자 채용연계형인턴
- 프로그래머스
- 개발자 정규직
- 개발자 면접 질문
- 신입 개발자 면접 질문
- 신입 개발자 면접
- 자바 암호화
- docker image
- 신입 개발자 자바 면접
- 도커
- 코딩테스트 연습
- 직장인점심구독
- 식단일기
- Linux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java Entity DTO 차이점 (1)
달리는 두딘
[JAVA] Entity, DTO 개념과 차이점 (+VO)
Entity Entity 클래스는 실제 DB 테이블과 매핑되는 핵심 클래스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존재하는 컬럼들을 필드로 가지는 객체 (DB의 테이블과 1:1로 매핑되며, 테이블이 가지지 않는 컬럼을 필드로 가져서는 안 됨) Entity는 데이터베이스 영속성(persistent)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객체 → 요청(Request)이나 응답(Response) 값을 전달하는 클래스로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음 또 많은 서비스 클래스와 비즈니스 로직들이 Entity 클래스를 기준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Entity 클래스가 변경되면 여러 클래스에 영향을 줄 수 있음 Entity에서는 setter 메서드의 사용을 지양해야 함 → 변경되지 않는 인스턴스에 대해서도 setter로 접근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객체의 일관성,..
지식노트
2023. 2. 9. 2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