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docker image
- 자바 stream
- 셰프의찾아가는구내식당
- Plating
- docker
- 개발자 면접 질문
- 코딩테스트 연습
- 프로그래머스
- 개발자 정규직
- 신입 개발자 필수 면접 질문
- .dockerignore
- 자바 암호화
- 자바 암호화 알고리즘
- 개발자 채용연계형인턴
- 개발자 인턴
- 신입 개발자 자바 면접
- 직장인점심구독
- 신입 개발자 면접 질문
- 식단일기
- 개발자 면접
- Linux
- 자바 암호화 복호화
- 식단
- 개발자 코딩테스트
- 플레이팅
- 샐러드
- 신입 개발자 자바 면접 질문
- 도커
-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 신입 개발자 면접
- Today
- Total
목록지식노트 (73)
달리는 두딘
자바로 배열 또는 컬렉션 객체를 다룰 때 IDE의 추천 메소드에는 stream()이 항상 있었다. 하지만 for문이나 향상된 for문으로도 충분히 원하는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어서 매번 지나쳤던 기억이 있다. 추후 로직이 복잡한 코드를 작성할 때 코드의 양이 많아지고 가독성이 떨어지는 상황을 대비해 스트림에 대해 제대로 알아보고 적절한 상황에 잘 활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 자바 스트림(Stream)이란? Java 8부터 추가된 기술로 람다를 활용해 배열과 컬렉션을 함수형으로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다. 기존의 for문과 Iterator를 사용하면 코드가 길어져서 가독성과 재사용성이 떨어지며 데이터 타입마다 다른 방식으로 다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스트림은 데이터 소스를 추상화하고, 데이터를 다루..
더미 데이터(dummy data)란? 유용한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지만 공간을 예비해두어 실제 데이터가 명목상 존재하는 것처럼 다루는 유순한 정보를 의미한다. 여러건의 물리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테스트 (페이징 테스트 등)할 때 사용한다. 더미 데이터 삽입 프로시저 생성 DELIMITER $$ DROP PROCEDURE IF EXISTS loopInsert$$ CREATE PROCEDURE loopInsert() BEGIN DECLARE i INT DEFAULT 1; WHILE i
watch 명령어를 소개합니다. watch는 임의 명령을 정기적으로 실행하는 데 사용되며, 명령의 출력을 터미널 창에 표시합니다. 이 기능은 명령을 반복적으로 실행하고 명령 출력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을 보아야 할 때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watch 명령을 사용하여 시스템 가동 시간 또는 디스크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watch 유틸리티는 거의 모든 Linux 배포 환경에 사전 설치된 procps(또는 procps-ng) 패키지의 일부입니다. watch 명령어 사용법 watch 명령의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watch [OPTIONS] COMMAND watch 명령의 작동 방식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해 date 명령을 실행합니다. watch date 위의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watch..
1. 현재 리눅스에서 열려있는 포트 확인 1) netstat -tnlp TCP 중에서(t), Listening 상태[열린포트]인 애들만(l), 상세 정보까지(p), 10진수 숫자로(n) 표기한다. [dklee@localhost ~]$ netstat -tnlp Active Internet connections (only servers)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PID/Program name tcp 0 0 0.0.0.0:22 0.0.0.0:* LISTEN - tcp 0 0 127.0.0.1:25 0.0.0.0:* LISTEN - tcp6 0 0 :::21 :::* LISTEN - tcp6 0 0 :::22 :::* LISTEN - t..
리눅스 find 사용법 find [옵션] [경로] [표현식] # 현재 위치에서 log가 들어가는 파일 모두 찾기 find . -name "*log*" 옵션 P : 심볼릭 링크를 따라가지 않고, 심볼릭 링크 자체 정보 사용. L : 심볼릭 링크에 연결된 파일 정보 사용. H : 심볼릭 링크를 따라가지 않으나, Command Line Argument를 처리할 땐 예외. D : 디버그 메시지 출력. 경로 find의 인자값으로는 경로를 받습니다. 상대 경로, 절대 경로 모두 가능하며 대부분의 리눅스의 경우 이 경로 인자 값을 생략한다면 현재 위치(.)를 입력받은 것으로 간주하지만 유닉스의 경우 이 경로를 입력받지 않으면 명령어 실행이 안되니 유의하셔야 합니다. 표현식 name : 해당 이름의 파일을 찾음. 해당..
Linux에서 Tomcat 서버 끄기 cd 톰캣설치경로/bin ./shutdown.sh 또는 service tomcat stop Linux에서 Tomcat 서버 켜기 cd 톰캣설치경로/bin ./startup.sh 또는 service tomcat start Linux에서 Tomcat 서버 재가동 위에서와 같이 ./shutdown.sh 후에 ./startup.sh 하기 또는 service tomcat restart 출처 https://wwwnghks.tistory.com/23
@Lob 데이터베이스의 BLOB, CLOB 타입과 매핑합니다. @Lob에는 지정할 수 있는 속성이 없습니다. 대신에 매핑하는 필드 타입이 문자면 CLOB이고, 나머지는 BLOB으로 매핑됩니다. (Lob은 Large Object의 줄임말입니다) CLOB : 문자 대형 객체, BLOB : 이진 대형 객체 (이미지, 동영상 등등) @Lob 주석은 @Basic 혹은 @ElementCollection 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ttl-blog.tistory.com/117
리눅스 chown 사용법 리눅스에서 파일은 어떤 Onwer, Group에 속해있습니다. chown 명령어는 파일의 Owner 또는 Group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chown [OPTIONS] USER[:GROUP] FILE(s) 소유자 변경 ls -l 명령어는 파일의 소유자가 누구인지 보여줍니다.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출력됩니다. 여기서 js js는 Owner와 Group을 의미합니다. 첫번째 js가 Owner를 의미하고, 두번째가 js가 Group을 의미합니다. $ ls -l -rwxr-xr-x 1 js js 6 3월 10 16:02 file1.txt 이제 chown 명령어를 사용하여 Owner를 root로 변경해보겠습니다. (변경하려는 Owne..
Vi, VIM(Vi IMproved=향상된 VI) 빠른 편집 속도가 특징인 리눅스의 대표적인 에디터이다. vi는 Visual의 약자이다. vi 시작 명령어 명령어 설명 예제 vi {파일명} 파일열기, 작성 vi test.txt vi +{행번호} {파일명} 파일을 열고, 입력한 행으로 커서 이동 vi -100 test.txt vi +/"{검색 문자열}" {파일명} “문자열”의 처음발생 단어부터 열기 vi -/"adc" test.txt vi –r {파일명} 손상된 파일 회복 vi -r test.txt view {파일명} 읽기 전용으로 열기기 view test.txt 수정 파일 열기 "vi {파일명}"명령어로 입력했을 때, 입력한 파일명이 실제 존재 한 경우 파일을 수정. 신규 파일 생성 "vi {파일명}"명..
이번 sort와 uniq는 정렬과 중복 처리에 관한 명령어로 awk와 함께 쓰이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서버 인입(REQ-URL) 시 초별로 카운트하는 상황에 사용됐었고, 이렇게 파악해서 Connection Pool을 조정한다고 알려주셨습니다. 그런 의미로 공부해봅시다~!!!!!!!! sort Description 파일의 내용을 정렬하여 화면에 출력합니다. Options 위치 지정 옵션 -k: key를 기준으로 정렬 -t: 필드 구분자로 데이터 컬럼을 나눠줌(기본 값은 공백) 정렬 기준 옵션 -f: 대소문자 무시 -g: 일반 숫자 정렬 -n: 숫자 정렬 -r: 내림차순 정렬 -u: 정렬 후 행이 같을 경우 중복 제거 -g와 -n의 차이는 이곳에 잘 나와있습니다. 요약하자면 -g는 숫자를 부동 소수점으..